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7

한국에는 쿠크다스! 일본에는 야쓰하시 ( 八ツ橋 )!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본 디저트는 한국에는 쿠크다스! 일본에는 쿠크다스처럼 얇고 부드러운 전통 디저트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야쓰하시( 八ツ橋 ) 입니다!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야쓰하시에 기본적인 특징은 계피향이 나며 바사삭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얇은 반죽을 넓게 펴서 구워 바삭한 식감을 유지 시킨다. 생각한다! 거기에 이 야쓰하시는 원래는 "가타야키센베"(딱딱하게 구운 센베)라는 단어라 생각했다. 그리고 그에 비해 반대로 반죽을 구워서 먹는 디전트가 야쓰하시(八ツ橋, 또는 가타야키야쓰하시) 라고 하였으면, 거기에 다른 방법인 반죽을 익혔으나 굽지 않는 방법을 이용한 디저트가 나마야쓰하시(生八ツ橋), 그리고 여기에 팥소를 넣은 다른 디저트가 앙이리나마야쓰하시(餡入り生八ツ.. 2020. 11. 30.
일본 아기자기하고 이쁜 전통 디저트 와가시!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본 음식은 일본에 전통 디저트이며,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모양의 이미지로 인기를 받았던, 일본 전통 디저트! 와가시입니다! 와가시! 일본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들었다,라고 말하는 과자이면서, 메이지 유신 전후로 서양에서 들어온 여러 기술들로 사용하여 화과자라는 단어의 내포도 되어 있다. 와가시는 역사적으로 봤을 때 정확한 시기는 없다고 한다. 그러나 센코쿠 시대 양아치이면서 무자비하던 사무라이들이 걱정된 각 다이묘들이 어떻게 하면 교양을 알려줄까? 하다 달콤한 과자와 쓴 차를 이용했다고 하는 추정이 있다. 와가시는 쓴 차의 맛을 덜어주기 위해 강한 닷만과 기름가 없으면, 달달함이 강하지만, 특이하게도 설탕을 많이 사용되지 않았고, 밀, 팥, 살 등의 전분이나 포도당 들로 맛을 내었다고.. 2020. 11. 29.
여름하면 지나칠 수 없는 시원한 디저트 팥빙수!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한국의 있는 디저트 (후식) 중 하나이고, 여름 하면 절대로 빼먹지 않고 항상 다가오고, 현재는 기술의 발달로 겨울에도 즐겨 먹을수 있는 오늘 알아본 역사 주인공은 팥빙수!입니다. 팥빙수 하면 제일 떠오르는 단어들은 뭐가 있을까요? 팥, 빙수, 윤종신, 디저트 등 많은 단어가 생각납니다. 그러나 이중 어느 누구도 팥빙수에 역사를 알아보려는 사람이 없죠. 물론 저도 그중에 하나였지만, 오늘 그 하나 중에 벗어나려고 합니다. 우선 팥 빙수 과연 그는 어디서 왔는가? 전체적인 역사를 보면 기원전 3000년경 중국에서 시초가 시작이라고 전해지고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 서빙고!라는 얼음을 관리하는 장소에서부터 시작이 된다. 서빙고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라는 영화에서 더 잘 알려진 장.. 2020. 11. 24.
쫄깃 쫄깃하고 달콤하면서 항상 옆에 있는 엿! 오늘은 대한민국에서 빼놓을 수 없는 디저트 중에 디저트! 간식으로 먹고, 후식으로도 먹을 정도! 남녀노소 모든 이가 즐기고 찾던 디저트! 엿, 엿강정! 알아봐요! 엿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몇몇 기록지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고려시대에 엿기름을 사용하여 엿이나, 감주 같은 감미료를 쓰였다고 한다! 이러한 역사를 보았을 때 엿은 우리 일반 생활에 자연스럽게 퍼져있고, 녹아들어 있어, 자세한 기록은 없는 거로 보인다. 그리고 김치같이 각 지역, 집마다 특생이 다르고 맛도 다른 것처럼 엿 또한 넓게 봐서 지역마다 만드는 방법도 조금씩 다르고, 그에 따라 사용 방법, 맛 등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그 당시 겨울이 되면 추운 날 먹을 것이 귀해지기에 각 지방마다, 가정마다 엿을 만들어 가지고 있었고, 그에.. 2020. 11. 23.
다섯가지 맛이 나는 디저트 오미자 화채! 오늘은 대한민국 디저트 오미자 화채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五味子花菜를 알아보겠습니다. 오미자 화채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 다섯 가지의 맛이 난다는 오미자를 우려서 물에 설탕이나, 꿀을 더하여 차갑게 마시는 음료! 거기에다 계절별로 여러 가지 과일, 꽃을 고명에 이용한다! 오미자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다섯 가지에 맛이라는 열매로 외국에 크랜배리 주스랑 비슷하다고 합니다. 오미자를 차갑게 마시는 음료이지만, 봄에는 꽃 종류를 고명으로 올리거나, 여름에는 많은 과일 등을 이용해 고명으로 이용하거나, 화채에 이용된다. 그리고 유자가 나오는 기간에는 유자를 이용하여요 유자화채로도 이용했다. 이렇듯 우리나라 선조들은 한 계절마다에 특징과 특색을 알고 음식에 많이 이용한 것을 볼.. 2020. 4. 20.
달면 달고, 쓰면 쓴 전통 디저트 수정과! 오늘은 대한민국 디저트 수정과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알아본 한국 디저트는 바로 수정과! 어렸을 때 어른들이 맛있다고 해서 먹어보면 막상 달기만 하지... 이건 뭐지?라는 생각을 가지고, 어린 저의 입맛은... 하지만 지금은 달달하니 쓴맛 나서 좋은 수정과! 뷔페, 잔치, 등 수정과 또한 특별한 날 많이 마시거나, 우리나라 뷔페에는 항상 디저트로 수정과가 있을 정도의 인기! 수정과 옛날에는 수전과 라고 하며, 계피, 생각을 달인 물에 설탕을 넣고 차게 해서 마신다. 선조들은 수정과를 곶감이 만들어지는 가을에서부터 정이월 까지 마시고, 설 명정 때는 식혜와 함께 항상 준비해두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국물이 있는 정과 ( 과일에 꿀이나 설탕을 넣어 먹던 과자 ) 형태의 음청류를 수정과라 하였고, 이는.. 2020. 4. 15.
반응형